책상 위 컴퓨터 34

TypeError

FLEX 작업중 몇일째 보는 녀석이다. 그전에는 잘못된 사용으로 인해 null 객체 참조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았다. 그래서 많은 시간이 흐르는 동안 "방치" 해 두고 다른 작업을 하고 있었다. 역시... 묵혀 놓으면 곪아서 터진다고, 중요한 시기에 적절한 해결책을 찾지 않고 넘어간 덕분에 이곳저곳에서 빵빵 터졌다. 깨알같은 버그와 에러들 ... (박명수씨 버전으로 하면 재미있을까 ... 깨알같은 웃음 :)) 수분(혹은 수시간)을 검색하던 중 addChild 라는 녀석에 의해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고 한다. UIComponent가 load 되는 와중에 addChild를 수행하게 되면 null ( 당연하겠지만, 결혼도 하지 않은 처녀에게 애를 가지라고 하니 황당할 따름. 물론 성모 마리아는 예외다) 값으로 뱉..

FLEX ActionScript Trace 출력

Flex를 하다가 보니 여러모루 ActionScript를 가지고 코딩해야 할 것들이 많았다. 물론 도서를 구입하고 책을 보며 하다 보니 대부분의 내용이 ActionScript 3.0 에 관한거라 Trace 함수를 사용해서 콘솔에 결과값을 출력해 주는게 다였다. 그래픽 작업도 있지만서도 ... 흔히 하는 것처럼 코드를 작성하고 CTL+F11 을 눌러(혹은 ▶ 버튼을 누르면) 실행을 할려하는데 아닌 이게 왠걸 ? Trace 함수가 작동하지 않는다 ?! 그래서 인터넷을 잠시 검색해 봤다. Trace함수는 Debugger Flash player에서 동작한다고 한다(정확한 정보는 아니니... 검색을 통해 정확한 지식을 습득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. ㅡㅡ : 하지만 Flex builder로 실행하려고 하면 현재의 F..

FLEX Button 동적 생성

지금까지 UI 관련 되서 작업해 본 적이 거의 없다. UI(User Interface) 관련 스킬은 JAVA Swing 밖에 사용해 보지 않았는데, 그 흔한 MFC도 잘 못 다룬다. 그러던 와중에 FLEX를 만지게 되었으니 후덜덜 할 밖에... 다행히도 FLEX는 인터넷에 자료도 많고 "지돌스타"님과 같은 고수분들이 나같은 초보를 위해 많은 자료와 기술적인 부분을 남겨 두셨으니 많이 참고하고 배울수 있었다. 하지만... 시바라이트는 =_- 욕밖에 ... 다른 것들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객체들을 생성할 수 있다. 이때, 주의해야 하는 것은 "addChild( Object )" 부분인데 해당 컨테이너(Object와 같은 뭔가를 담는 그릇)에 추가시켜 주어야 한다. 기본적으로 작업하는 mxml의 ..

[D-1] WCF를 배우자

WCF 프로젝트를 처음 생성하면 IService1.cs Service1.svc - Service1.svc.cs Web.config 이라는 파일이 생성된다. IService1.cs 에는 [ServiceContract]로 선언된 Service 요청이 성공하였을 때 해당 서비스를 외부에서 namespace등을 접근을 하기 위한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다. 예를 들면 내부에 Service1.svc 에서 선언되고 구현되어진 코드들(메소드)을 IService1.cs에서 [OperationContract]라는 메타데이터로 선언되어 외부에서 사용가능한 기능들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. Web.config 아네는 Web Service시에 필요한 설정값들이 저장되어 있다. 일예로 SOAP 서비스를 할때, 어떤 규약으로 데이터..

File에서 값 수정 법

C standard library에는 여러 함수가 존재한다. 게중에는 fopen, fwrite 와 같이 파일을 제어 할 수 있는 함수들 역시 존재한다. 여기서 알아 볼 것은 fopen이다. fopen은 파일을 여는데 사용하는 함수이다. fopen의 함수 원형은 FILE * fopen( const char * filename, const char * mode ) 인데, 파일의 이름과 mode를 인자로 받는다. mode는 문자열로 되어 있으며 해당 함수에서 해당 문자를 parsing해서 원하는 mode로 설정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. fopen은 실제 여러 옵션자가 존재하는데, r, w, a 로 존재한다. ( 모드 설명은 아래 그림 참고 - 출처 : http://www.winapi.co.kr ) 모드 설명 ..